맨위로가기

완도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도군의 농어촌버스는 완도군 내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2023년 9월부터 전 노선 요금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여러 운수 업체가 노선을 담당하고 있다. 완도교통, 신지여객, 고금여객 등이 있으며, 완도읍, 고금면, 노화읍, 보길면, 생일면, 신지면, 청산면, 금일읍 등 완도군 각 읍면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농어촌버스 - 횡성군의 농어촌버스
    횡성군의 농어촌버스는 2019년 7월 노선 재조정으로 번호가 재부여된 횡성군 중심의 버스 노선으로, 횡성읍, 우천면, 안흥면·강림면, 갑천면·청일면, 공근면, 서원면, 둔내면 방면으로 운행하며 원주시와 홍천군의 시내버스도 함께 운행된다.
  • 완도군의 교통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까지 287.8km에 걸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잇는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쳤으며 완도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 완도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완도군의 농어촌버스
완도군 농어촌버스 정보
지역완도군
구분농어촌버스
완도교통에서 운행하는 버스
완도교통에서 운행하는 버스
관리 기관완도군청 지역경제과
서비스 지역전라남도 완도군
기타 지역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노선 수48
인가 대수31
지불 정보
지불 수단현금
선불 카드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한페이
웹사이트
사이트완도군의 농어촌버스 안내

2. 요금

2023년 9월 기준 전 노선이 무료화되어 요금은 없다.

3. 운수 업체

2015년 11월 기준이다.[1]

운행업체등록대수면허 일자
고금여객81978년 5월 16일
노화교통21982년 5월 28일
보길여객21980년 9월 19일
생일마을버스1
신지여객21975년 7월 25일
완도교통101987년 7월 25일
청산마을버스11977년 12월 29일
청산여객11977년 12월 29일
금일여객41977년 11월 14일
소안여객11984년 12월 4일


4. 노선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운행횟수비고
완도 ~ 남창완도교통완도남창대가용, 불목, 원도, 달도왕복 15회
완도 ~ 남창완도남창망석, 정도, 화흥, 삼두, 원동, 달도왕복 13회
완도 ~ 망석완도망석망남왕복 4회
원동 ~ 교인원동교인망축, 초평, 용계왕복 4회
완도 ~ 신지,동고완도신지,동고송곡, 내정왕복 9회
대가용 ~ 중리대가용중리장좌, 대야, 대창, 황진왕복 4회
망석 ~ 망축망석망축석장, 화개, 대신, 갈문왕복 4회
완도 ~ 남창신완도교통완도남창대가용, 불목, 원동, 달도왕복 3회
완도 ~ 남창완도남창망석, 정도, 화흥, 삼두, 원동, 달도왕복 3회
장용 ~ 사동장용사동상득암, 하득암, 관중, 관산, 신기, 우두, 천동왕복 6회
장용 ~ 당목장용당목해동, 어두왕복 5회
장용 ~ 당목장용당목해동, 어두, 가사왕복 2회
어두 ~ 가교,회관어두가교,회관당목, 고금(우도, 사동, 득암)왕복 1회
어두 ~ 고금,석치어두고금,석치당목, 고금(우도, 사동, 득암)왕복 2회
감목 ~ 감목금일여객감목감목구동, 신평, 궁항, 용항, 동성, 동성항, 신평, 구동왕복 4회
감목 ~ 소랑감목소랑구동, 신평, 궁항, 용항, 동성, 동성항왕복 2회
감목 ~ 일정항감목일정항화전, 척지, 도장, 일정일정항 방면 8회 운행
감목 방면 9회 운행
감목 ~ 소랑도감목소랑도구동, 신평, 월송, 동백, 사동왕복 10회
감목 ~ 일정항감목일정항화전, 일정일정항 방면 5회 운행
감목 방면 4회 운행
이목 ~ 이목노화교통이목이목포전, 소당, 도청, 염등, 미라, 삼마, 북고, 산양, 신목, 신리, 양하4회순환 버스
이목 ~ 이목이목이목충도, 석중, 천구, 동고, 구목, 양하리, 대당, 포전4회순환 버스
이목 ~ 당산이목당산잘포리왕복 4회첫차 학생통학
이목 ~ 이목이목이목충도, 석중, 천구, 동고, 구목, 산양, 북고, 미라, 삼마, 염등, 도청, 포전2회서→동 방향 순환 버스
이목 ~ 이목이목이목포전, 소당, 대당, 염등, 미라, 삼마, 북고, 산양, 신목, 신리, 구목, 동고, 천구, 충도2회동→서 방향 순환 버스
이목 ~ 당산이목당산노화초등학교, 이목, 잘포왕복 1회
이목 ~ 보길,청별이목보길,청별왕복 4회
완도터미널 ~ 동고신지여객완도터미널동고가용, 강독, 물아태, 송곡, 임촌, 명사십리, 신리, 내정, 대푱, 신기, 신상, 월부, 가인, 동촌왕복 9회
대평 ~ 내동대평내동신기, 신상, 월부, 양지왕복 1회
대평 ~ 삼마대평삼마신기, 신상, 월부, 양지, 내동, 양천왕복 1회
대평 ~ 방죽포대평방죽포신기, 신상, 월부, 양지, 내동, 월부, 가인, 동촌, 동고왕복 1회
대평 ~ 삼마대평삼마신기, 신상, 월부, 양지, 내동, 월부, 가인, 동촌, 동고, 방죽포, 양천왕복 3회
당목 ~ 가교고금여객당목가교가래, 장용, 덕동, 석치, 청용, 교성, 가교회관왕복 3회
당목 ~ 마량당목마량가래, 장용, 덕동, 석치, 청용, 교성, 가교회관왕복 1회
어두 ~ 마량어두마량당목, 장용, 덕동, 석치, 청용, 교성, 가교회관왕복 3회
석치 ~ 가교석치가교청용, 청학, 월장, 진등, 교성, 고금대교, 가교회관왕복 10회
당목 ~ 상정당목상정해동, 가래, 장용, 덕동, 석치, 대곡왕복 8회
어두 ~ 상정어두상정당목, 해동, 가래, 장용, 덕동, 석치, 대곡왕복 1회
석치 ~ 상정석치상정대곡, 회룡왕복 5회
석치 ~ 용초석치용초봉명, 칠인왕복 4회
석치 ~ 석치석치석치신장, 내동, 충무, 세동, 항동편도 2회
석치 ~ 석치석치석치신장, 내동, 충무, 윤동, 덕동(보건지소)편도 3회
석치 ~ 봉성석치봉성장중, 봉암, 장항왕복 5회
석치 ~ 척찬석치척찬도남, 부곡왕복 10회
석치 ~ 청학석치청학청학입구, 먹골왕복 3회
신지,송곡 ~ 완도중학교신지,송곡완도중학교가용리, 5일시장, 중앙시장, 축협, 군청왕복 7~9회장날에 2회 증회 운행
도청 ~ 상서청산여객도청상서당리, 읍리, 청계, 신풍, 양지, 중흥, 신흥, 동촌왕복 8회
도청 ~ 권덕도청권덕구장왕복 2회
도청 ~ 진산청산마을버스도청진산지리, 국화왕복 5회
도청 ~ 권덕도청권덕구장왕복 2회
도청 ~ 도청나비야청산가자도청도청당리, 읍리, 범바위, 신흥해수욕장(목섬), 진산리(갯돌밭), 지리해수욕장유동적 운행
보길,청별 ~ 노화,동천소안농협보길,청별노화,동천노화이목왕복 12회
청별 ~ 예송보길여객청별예송월송왕복 5회
청별 ~ 백도청별백도월송, 통리, 여항, 중리왕복 5회
청별 ~ 보옥청별보옥부황, 정동, 정자, 선창왕복 5회
청별 ~ 부용청별보옥부항왕복 4회
청별 ~ 이목청별이목왕복 4회
서성 ~ 용출생일마을버스서성용출굴전리왕복 5회
서성 ~ 금곡서성금곡유촌리왕복 5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